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해야 하는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해야 하는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내에서 주변 조직과 유착된 척추신경을 분리시켜주는 척추신경성형술과 신경치료를 병행하면 수술하지 않고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척추는 성급히 수술하면 오히려 더 아픈 척추수술 후유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신경치료를 먼저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유착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수술을 하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는 운동제한과 함께 안정을 취하고 약물치료로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외 보조기착용 및 열치료, 극초단파치료, 마사지, 견인치료 등의 물리치료법도 있으며 급성기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등척성(근육의 길이변화 없이 긴장만을 주는) 신전운동과 과굴곡운동 등의 운동요법이 도움이 됩니다.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근력저하, 축수손상 증상, 마미총증후군 등이 생길 경우 감압적 수술을 시행하는데 요추의 경우 감압술은 두꺼워진 황색인대, 후관절 돌기 내측, 추간판 등을 충분히 절제하여 감압시켜주는 것이며 신경근병증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간공 확장술을 하여 신경근이 눌리지 않도록 하여 줍니다.